rds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는 저번에 생성했고..
이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서버를 구축해보는것을 목표로 더 공부해보기로 한다.
먼저 ec2가 무엇인지부터 개념 정리를 해 보자.
EC2란?
elastic compute cloud의 약자로(c가 두번연속이라 c2..),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라고 한다.
쉽게 말하자면 원격으로 aws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서버를 필요한만큼 임대하여 사용하는것!
이 한대 한대의 컴퓨터를 인스턴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인스턴스 단위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로드밸런서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로드 밸런서란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요청을 보내면 사용자들의 접속을 여러 서버에 나눠 분산을 시켜,
어플리케이션 트래픽을 아마존 ec2인스턴스, 컨테이너, ip주고, 람다함수, 가상 어플라이언스와 같은
여러 대상에 자동으로 분산시켜 안정적인 aws환경을 구축하는데에 도움을 주는 서비스라고 한다.
또한 컴퓨팅 요구사항의 변화에 따라 컴퓨팅 파워를 조정할 수 있고, 사용한 용량만큼만 비용을 지불하기에 효율적이다.
또한 프리티어 무료 사용이 가능하다!
(그렇다고 무제한 사용가능한건 아니고 12개월까지, 월 750시간 한도라 매월 풀로 돌려도 과금되진 않으나 인스턴스를 하나가 아니라 여러개 생성하면 금방 과금이 될 수 있다고 하니 주의..나는 사용하지 않을때는 인스턴스 중지를 하려고 한다 혹시 몰라서)
아무튼 장점은 많다..생성해보자!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리전이 서울로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하고(내 아이디 왼쪽에서 선택가능)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누른다.
다음과 같이 운영체제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온다.
ami를 고르는게 있는데 프리 티어로 사용 가능한 ami중에서 가장 최신으로 보이는걸로 선택했다(기본으로 저게 떴음)
이 AMI가 무엇이냐면, 내가 대여할 이 ec2 컴퓨터를 생성할때 반복되는 설치 작업이 없게끔
저장된 상태의 컴퓨터를 이용하도록 하는것이다.
컴퓨터를 사용할때 프로그램도 설치하고 파일도 저장하고 설정 변경 등 다양한 작업을 할거고
cpu 프로세서 타입, 저장공간, 64비트인지, os는 윈도우인지 다른거인지 등등 정보들이 있는데
이러한 상태 정보를 그대로 셋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아마존 리눅스를 선택해야 하나 우분투로 해야하나 고민이 많았는데 팀원분들과 상의끝에 우분투로 정하게 되었다.
키 페어를 생성하고 나머지 설정들도 확인한다.
나는 따로 설정을 바꾼건 없었고 디폴트로 되어있는 상태 그대로 진행했다.
그러고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누르면 인스턴스가 생성된다.
생성한 EC2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인스턴스 아이디를 누르고 오른쪽 위의 연결 버튼을 누른뒤
SSH 클라이언트 누르고 하단에 ssh로 시작하는 명령어를 복사한다.
그다음 나는 맥북을 사용하기 때문에 터미널을 켰고
키페어를 저장한 위치에 들어간다.
cd 폴더이름 -> 해당 폴더로 이동
ls -> 현재 폴더에서 어떤 파일들이 있는지 확인
pwd -> 현재 위치한 정보
파일명 일부 + 탭키 -> 파일명 자동완성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들은 이제 익숙해질때도 되었다
그렇게해서 .pem 키 파일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고 아까 복사했던 명령을 그대로 붙여넣으면
접근 권한 문제로 위와같은 문구가 뜨거나 접속 권한이 없다는 문구가 나올것이다
pem파일 소유자에게 읽기 권한을 부여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명령어를 쳐준다(600으로 해도 되는것같은데 걍 400으로함)
%chmod 400 (파일명).pem
그러고나서 다시 아까의 명령을 다시 복붙해서 실행하면
위와같이 우분투에온걸 환영한다 어쩌구가 뜨면 접속에 성공한것!
이제 내 컴퓨터에서 이 ec2 인스턴스 컴퓨터에 접속, 제어가 가능한것이다 ..
이제 다른 팀원들도 이 인스턴스에 접근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올리도록 하겠다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er] Postman Cloud Agent Error 등 에러 / http와 https (0) | 2022.09.03 |
---|---|
[DB] RDS란?/RDS로 MySQL DB 인스턴스 생성하기 (0) | 2022.08.15 |
[MySQL/DB] auto_increment가 뭘까? (0) | 2022.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