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DB] RDS란?/RDS로 MySQL DB 인스턴스 생성하기

Fenderblue 2022. 8. 15. 03:27

프로젝트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시작해야 하는데,

분명 데이터베이스 수업을 들었는데도 거의 다 까먹었고 (큰일^^)

rds는 뭐고 s3, ec2는 많이 들어보기는 했는데 대체 왜 사용하는지, 꼭 사용해야 하는건지 등등 머릿속이 복잡했다.

여기저기 찾아봐도 아직은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지만 나름대로 정리해보고 공부하고 해본만큼 기술하고자 한다.

 

RDS란 relational database service의 약자이다.

MySQL, Oracle과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해서 사용하고자 할때 규모가 있는 db를 내 로컬 pc에서 관리하기에는

부담과 어려움이 따르기에 이러한 골치아픈 관리 작업들을 AWS에 맡겨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확장성이 뛰어나고 백업, 복구 등을 하기 좋고, api호출을 통해 쉽게 처리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보안성이 좋다고 한다.

많이들 사용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는 법..

 

rds 인스턴스 생성하는 과정을 기록해보았다.

 

 

 

 

루트 사용자로 로그인을 한다.

(IAM 사용자는 회사 내에서 클라우드 인프라를 책임지고 다른 아이디들에 각각 권한을 부여하는 식으로 운영하고자 할때 사용한다고 한다.)

내 아이디를 클릭하면 우측 상단에 결제 대시보드라는게 뜨는데 여기서 내 신용카드 지출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내 아이디 왼쪽에 지역을 꼭 서울로 설정해 주어야 한다고 하네요

검색창에 rds 치고 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릭

 

손쉬운 생성은 비용이 지출될수도 있다고 한다

우선 나는 표준 생성으로

엔진유형 MySQL로 지정, 에디션이나 버전은 건드리지 않고 넘어갔다

무료버전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프리티어를 선택해야 함

인스턴스 식별자, 마스터 사용자 이름, 암호 등은 까먹지 않도록 어디 잘 적어놓도록 하자!

그리고 그 밑에있는 항목들도 다 기본값으로 그대로 두었다

다만 스토리지 자동 조정 활성화는 꺼두는게 좋다 혹시 요금이 부과될 수 있기 때문

그 다음 항목들도 디폴트로 거의 그대로 놔뒀는데

퍼블릭 액세스 항목은 외부에서 db에 접근을 허용할것인가를 묻는것인지라

다른 팀원들 각자의 로컬 pc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예로 바꾸어주었다

추가 구성을 눌러보면 db 포트번호가 뜨는데 MySQL은 기본적으로 포트번호가 3306이기 때문에

이것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초기 데이터베이스명은 위에서 정한 인스턴스 식별자랑 동일하게 지어주었다

그리고 자동 백업 체크버튼을 해제시켜놨는데

저기서 제공하는 스냅샷 기능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들을 추후 잘 삭제시켜주지 않으면 돈이 지불될 우려가 있어 이 또한 피하도록 한다..^^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보다는 공부/프로젝트용으로 써보는것이기 때문에..!

암호화 활성화는 꼭 해야하는지 모르겠지만 일단 체크된대로 냅뒀다

 

삭제 방지 활성화 체크는 비활해두었다. 12개월이 지나기 전에 삭제해야 요금이 안나갈것 같아서!

체크해도 설정에서 바꾸고 삭제하면 되겠지만 번거로울듯 싶기도 하고 설마 실수로 db자체를 삭제할까 싶다..

이와같이 설정을 마쳤으므로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누른다.!

그리하면 인스턴스 생성이 시작되는데 조금 걸린다. 5분정도?

 

사용 가능 상태로 변경되었다.

 

혹시 추후에 과금이 되는 문제가 생길까봐 미리 도움이 될만한 블로그 링크를 달아두겠다.

https://programforlife.tistory.com/28

 

다음에는 s3, ec2에 대해 좀더 공부하고

파라미터 그룹 생성, 보안설정 등을 포스팅하도록 하겠다.